Eclipse 에서 Web Application 개발환경 구축하기
개발환경, 배포환경을 손컴파일 해놓다보니- 실제로 Eclipse 에서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더라고요. 그래서 Eclipse 에서 동적 웹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환경을 세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캡쳐/코멘트 해놓고 보니 엄청 투박하네요 ㅇ_ㅇ; 그래도 웹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서 지정할 수 있는 설정들을 꼼꼼히 살펴보고 넘어갈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~
프로젝트 생성
Dynamic Web Project
1. Project Type 지정: Dynamic Web Project
2. 프로젝트 생성
- 프로젝트 이름
- 프로젝트 개발환경
- 프로젝트 배포 서버 지정
3. Web Module 세팅
- 웹모듈이란? 배포가능한, 사용가능한 웹리소스의 최소단위
- Context Root: 웹 어플리케이션의 Document Root Directory
- Content Directory: Static Web Content File 이 위치할 경로 (.html, .jsp)
- DD: 배포서술자 Deployment Descriptor
4. 패키지 생성
- 개발환경: server-side 클래스들을 개발할 소스폴더 (패키지) 를 생성합니다. servlet, 유틸리티 클래스, JavaBeans 컴포넌트 등이 위치합니다.
- 배포환경: 소스폴더에 대응되는 컴파일 완료된 클래스 파일 경로를 지정합니다.
로컬 실행 (+테스트)
1. .html 웹콘텐츠 실행
- WebContent Directory (ContentDirectory) 에 .html 생성
2. 서버 세팅
- 구동 서버 선택
3. 구동할 애플리케이션 선택
4. Run : 웹페이지 호출완료
정리하자면-
프로젝트에 웹 리소스를 정적인 파일 / 동적인 파일을 구분하여 위치시킵니다. WEB-INF 에 DD, lib, 클래스파일, 커스텀태그 등이 위치합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정적인 파일까지 위치완료! 다음 포스트에서는- 간단한 동적 웹리소스 - 서블릿 클래스도 동작시켜보겠습니다
웹 모듈 구조 Web-Module-Structure